내일을 여는 사람들 > 정보마당 > 내일을 여는 사람들

꺼지지 않는 마음의 등불!- 충주출신 원로시인 신경림


 

신경림


-1935년 충북 충주시 노은면 연하리 상입장 출생

-1955년 충주고등학교 졸업, 동국대학교 영문학과 입학

-1956년 「문화예술」에 「갈대」「낮달」등이 추천되어 문단 등장

-1992년 민족문학 작가회의 의장 -동국대 석좌교수 역임

-만해문학상(1975), 한국문화 작가상(1981), 단재문학상(1993),

 4.19 문학상(2001), 호암 예술상(2009) 등 다수.


-대표 시:「농무」「남한강」「뿔」「길」「목계나루」「비」「쓰러진 자의 꿈」「파장」외 다수

 


77세 나이에 첫 동시집 펴내, 삶의 본질을 맑게 비춰 주고 있다.

지난 5, 충주출신 원로시인 신경림이 처음으로 동시집 「엄마는 아무것도 모르면서」를 펴내, 이 시대를 사는 엄마 아빠의 울컥한 심경을 자아내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77세 노인이 동시를 펴낸 이유가 무엇일까? 우선 동시를 써 보고 싶다는 생각을 절실히 한 첫째 이유가손자가 생긴 뒤였다고 한다. 그로서는 도저히 생각할 수 없는 손자의 생각과 행동을 읽으면서 이것을 형상화하면 정말로 훌륭한 문학이 되겠다는 생각을 했다는 것이었다.

그러면서 그는어쩌면 성인의 삶을 그리는 것 이상의 본격적인 인간탐구의 문학이 될 수 있다고 생각 했다고 전언한다.


 


「엄마는 아무것도 모르면서」

 

엄마한테 전화가 왔다. / “열시까지 갈게”

엄마는 야근, 아빠는 회식 / 학원에 갔다 와서, 라면하나 먹고

아빠한데서 전화가 왔다. / “열한 시까지 갈게”

컴퓨터를 켰다가 / 동화책을 폈다가

또 엄마한테서 전화가 왔다. / “열두 시까지 갈게”

텔레비전을 틀었다가 / 핸드폰을 열었다가

깜박 텔레비전 앞에 / 잠이 들었다.

이윽고 귓전에 / 엄마 목소리 / “얘는 날마다 텔레비전만 보나 봐”

엄마는 / 아무것도 모르면서



 

이 시를 쓰면서 그는아이들은 어른보다 세상의 본질을 더 잘 꿰뚫는다이는 오만과 지식의 가림막이 없기 때문이며 동시는 우리 삶의 본질을 맑게 비춰주는 거울이라고 했다.

또한 그는 이 동시를 쓰면서아이들의 세계에 들어가 아이들의 눈으로 세상을 경험 해보았다고 했다. 스스로 일흔 일곱 살의소년이 된 것이다는 그는잃어버린 동심을 조금이나마 되찾고 아이들의 생각과 시선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여하튼 표제작인 「엄마는 아무것도 모르면서」는, 자식을 둔 세상의 모든 부모들을  뒤 돌아보게 만들어 버렸다.

 


충주출신인 신경림 시인-진솔한 내면의 세계로 족적을 남기다!

신경림 시인은 충주시 노은면 출생으로 민요정신을 계승한 소박한 언어로 붕괴 돼가는 농촌의 삶과 산업화 이면의 궁핍상을 절절하게 노래한 첫 시집 「농무」를 발표해 관심을 끌기 시작했다.

징이 울린다/ 막이 내린다~ 로 시작하는 「농무」라는 시는 2003년도 고등학교전국연합학력 평가에 기출 돼  그의 문학성은 진가를 발휘만해 문학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또한 광주민주화항쟁 직 후 80년대 독재정권의 탄압에 봉쇄된 사람들의 공간을 확보하고자 기행을 통해 가락과 정서를 녹여 만든「민요기행」과「길」을 발표하고 장시집인 「남한강」을 발표해 제2 <아산문학상>을 수상 하였다.

92년도에는 <민족문화작가회>의 회장을 역임 했고, 98<벽초 홍명희 문학비 건립 추진위원회공동위원장>을 맡았으며 2001<6회 현대불교문학상> <2 4.19문화상> <은관 문화훈장>을 수상했다.

1974년에는 스웨덴의 <시카다상> 2002년에는 <만해상>을 수상하였고 2004년부터 <예술원 회원>으로 꾸준히 활동 해, 2009년도에는 삼성 재단에서 시상하는 <호암예술상>을 받아 시문학의 거장으로 자리 잡았다.

 


시의 맛은말의 멋이라는 그는자기만의 표현만을 강조해야 시의 운치가 살아난다고 했다.

“요즘 사람들이 시를 잘 읽지 안는다는 그는시는 대화하듯 하되, 남들보다 자신의 힘을 힘 있게 표현해야한다시를 소통이라고 생각 한다고 했다.

또한 시는 남들이 표현하지 못하는 것들을 표현해야 하는데바람보다 더 빨리 눕고 / 더 빨리 일어난다/~고 표현 한 김수영씨의 「풀」을 예로 들며시는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먼저 보고, 느끼고, 만지고 그것을 독자에게 얘기를 해 주어야 한다" 남들이 다 표현 하는 것은 시가 될 수 없다고 했다.

이런 여유에서 신경림의 현대시가 문학교과서 18종 가운데「농무」가 3, 「목계장터가 3종이나 실려 한용운 8, 이상화 7, 심훈과 박두진 5종에 이어 그 뒤를 이었다. 한편 CCS충북방송에서도 지난해 전국 최초로 신경림 시인을 테마로 하는신경림 시의 감상과 연계된 보련산 등산대회를 펼친바 있다.

 


목계장터」,「갈대」,「비」,「고목」,「장마」,「파장」등 우리지역을 소재로 한 그의 명시가 곳곳에 산재하고 있다.

“당시 노은고향을 벗어나 큰 마을을 본 것이 목계가 처음 이었다고 운을 띤 그는, “한때 계엄령하에 지명수배를 당해 도망 다니다가 어리버리 잡히고 만 곳도 목계라고 말한 그는「목계장터」라는 시를 꿈의 고향으로 엮어 냈다.

하늘은 날더러 구름이 되라 하고 / 땅은 날더러 바람이 되라 하네

청룡 흑룡 흩어져 비 개인 나루 / 잡초나 일깨우는 잔바람이 되라네

뱃길이라 서울 사흘 목계 나루에 / 아흐레 나를 찾아 박가분 파는 가을별도 서러운 방물장수 되라네~~~


충주 목계에 시비도 건립 될 정도로 우리지역에서 사랑을 받고 있는「목계장터」의 시를 이시영씨는겨레말의 아름다움을 이처럼 드높은 숨결로 형상화해낸 시를 본적이 없다고 했으며, 염무웅씨는어느 한 군데 흠을 잡거나 틈을 노릴 여유를 주지 않는 꽉 들어찬 작품이며 안에서 솟구치는 정감과 바깥에서 물결치는 가락이 기막히게 조화를 이룬 절정적인 서정시라고 격찬한 바 있다.

또한 그는 부인을 너무 빨리 사별해 버리고 아픔이 배어있는「비」라는 시를 토해 냈는데 부인이 죽음을 맞이한 그날도 아래 시에서 보듯이 비가 내렸다고 한다.

 

비가 내렸다./ 그녀와 헤어지던 그 가을

무력한 내 손에 꽂히던 연민과 경멸의 눈빛

머리칼이 젖고 목덜미가 젖고 나뭇잎이 젖고

우리들 오랜 떨림과 기쁨이 젖고

~ ~ ~ ~ ~ ~ ~ ·~ ~ ~ ~ ~ ~ ~ ~ ~ ~ ~ ~ ~

그날도 비가 오리라/ 내가 세상을 뜨는 날~~

 


‘신경림문학관 건립에 따른 지역 랜드마크의  필요성 제기

이효석 문학관이 강원도 관광자원의 근간을 이루듯이 신경림 생가를 복원하는 등전국최고 문화관광 뉴 타워리즘을 조성해야 한다는 여론이 지역에서 일고 있다.

이는‘고두원의 명상센타가 이미 노은에 자리 잡고 있으며 각종 온천. 휴양지와 더불어 4통팔달 교통망이 구축되어 충주지역의 색다른 관광콘텐츠가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한편 부산진구에서는 이미 신경림 시인 쓴「동해바다」의 시비 제막식을 가진 바 있으며 신경림 시인의 소재가 전국을 대상으로 널리 산재하고 있어 신경림 문학관은 더욱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카페회원, 학생, 문학도들은신경림 생가를 탐방하는 등 이미 관광자원이 되고 있다는데 눈여겨 봐야한다. 이에 신경림 시인은고향의 애뜻한 사랑은 알고 있지만 사회에서 누가되지 않는 선에서 조심스럽게 접근 해야 된다면서 말끝을 저민다.

 

 

<충북방송 미디어 국장: 윤 길 상>

 

번호 성명 제목
44 변향준 시민에게 행복을 주는 충주시 여성단체 변향준 회장
43 장병집 특성화 시너지로 한국교통대학을 출범시킨 장병집 총장
42 이기용 충북교육의 르네상스를 연 이기용 교육감
41 석종호 새마을훈장 협동장 영예에 빛나는 석종호 충주시 새마을 회장!
40 이석재 조합원의 소득증대에 고군분투하는 이석재 충주축협 조합장!
39 이옥순 이웃을 위해 나눔을 실천하는 이옥순 충주시 새마을부녀회장
신경림 꺼지지 않는 마음의 등불!- 충주출신 원로시인 신경림
37 선거용어풀이--윤 길 상
36 경대수 다선의원 못지않은 능력으로 지역발전 동분서주 - 경대수 국회의원
35 채홍업 진솔함이 있어 빛나는 바르게 살기 운동 - 채홍업 회장
12345678910L|

CCS CHUNG-BUK CABLE TV COMPANY

  • (주)씨씨에스충북방송
  • 대표: 김영우, 정평영
  • 사업자등록번호: 303-81-18621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충북아00127
  • 등록일: 2014년 03월 13일
  • 제호: CCS충북방송
  • 발행인: 정평영
  • 편집인: 최봉식
  • 주소: 충북 충주시 예성로114
  • 발행일: 2014년 03월 13일
  • 전화: 043-850-7000
  • 청소년보호책임자: 유경모
  • 개인정보책임관리자: 정평영
  • Copyright © ccstv.co.kr All Rights Reserved.